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연습문제
- 알고리즘
- 일정관리 프로젝트
- Redis
- Java
- CoffiesVol.02
- 코테
- Kafka
- LV0
- mysql
- 데이터 베이스
- 이것이 자바다
- 프로그래머스
- docker
- LV02
- LV01
- 포트폴리오
- SQL
- LV.02
- S3
- Lv.0
- CI/CD
- spring boot
- GIT
- Join
- 일정관리프로젝트
- LV03
- 디자인 패턴
- JPA
- LV1
- Today
- Total
목록ComputerScience (28)
코드 저장소.

목차1. 프록시 패턴?2. 프록시 패턴의 장단점3. 구현 예제 1. 프록시 패턴?프록시 패턴(Proxy Pattern)은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어떤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해 그 객체의 대리인 역할을 하는 객체를 사용하는 패턴입니다. 프록시 패턴은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거나 기능을 추가하거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2. 프록시 패턴의 장단점장점접근 제어 : 클라이언트가 실제 객체에 직접 접근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객체의 접근을 관리하고 권한 검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지연 초기화 : 실제 객체의 생성 및 초기화를 지연시키는 데 사용하여 필요한 순간만에 생성 및 초기화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캐싱 : 결과를 캐싱하여 중복 계산을 피하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유효..

목차1. 싱글톤 패턴?2. 싱글톤 패턴의 장단점3. 예시 1.싱글톤 패턴?싱글톤 패턴은 어떤 클래스가 최대 한 번만 인스턴스화(Instance)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패턴입니다. 이는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어디서든지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전역 상태를 관리하거나 유일한 자원에 접근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싱글톤 패턴에 사용되는 예는 데이터베이스의 연결, 로깅, 공통설정 클래스 등이 있습니다. 2.싱글톤 패턴의 장단점싱글톤 패턴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유일한 인스턴스 : 싱글톤 패턴이 적용된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애플리케이션 전역에서 단 하나만 존재하도록 보장합니다. 이는 객체의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역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합니다. 메모리 절약 : 인스턴스가 단 하나뿐이므로 ..
목차1. 디자인 패턴?2. 디자인 패턴 종류 1. 디자인 패턴?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주 쓰이는 설계 방법을 특정 규약을 만들어서 정리한 패턴입니다. 2.디자인 패턴 종류디자인 패턴은 생성패턴(5개) + 구조패턴(7개) + 행위패턴(11개)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생성 패턴 (5개)구조 패턴 (7개)행동 패턴 (11개)싱글톤 (Singleton)어댑터 (Adapter)책임 연쇄 (Chain-of-Responsibility)팩토리 메소드 (Factory Method)브릿지 (Bridge)커맨드 (Command)추상 팩토리 (Abstract Factory)컴포짓 (Composite)인터프리터 (Interpreter)빌더 (Builder)데코레이터 ..

[목차] 1.인덱스? 2.인덱스의 적용조건 3.인덱스의 작동원리 4.인덱스 작성문법 5.프로젝트에 적용하기. 1. 인덱스?? 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검색 및 조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인덱스는 특정 열(또는 열의 조합)에 대한 정렬된 데이터 집합으로,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조건에 맞는 레코드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2. 인덱스의 적용조건 인덱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합니다. 카디널리티 (Cardinality)가 높은 열카디널리티는 테이블에서 한 컬럼이 가지고 있는 중복도를 말합니다. 여기에서 카디널리티가 높다는 것은 한 컬럼의 중복도가 낮다는 것을 말합니다. 선택도 낮은 열선택도가 낮은 컬럼은 한 컬럼이 갖고 있는 값 하나로 여..

목차 1.IP ? 2.TCP ? 3.TCP/IP 4계층 1.IP ? IP는 컴퓨터나 기타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는 주소 체계를 정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각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이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내고 받습니다. IP는 데이터의 패킷화, 라우팅, 전송 등을 관리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조각들의 순서가 뒤바뀌거나 일부가 누락되더라도 크게 상관하지 않고 보내는 데 집중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IP 버전은 IPv4와 IPv6가 있습니다. 2.TCP ?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송과정을 관리합니다.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이를 받는 측에서..

목차 1.OSI는 무엇인가? 2.각 계층의 설명 1.OSI는 무엇인가?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을 말합니다. 2.각 계층의 설명 각 계층에서 Header가 붙게 되고 수신측은 역순으로 헤더로 분석하게 된다. 1계층 - 물리계층(Physical Layer)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 단지 데이터 전기적인 신호(0,1)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만 할 뿐 이 계층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위 : 비트(Bit)이며 이것은 1과 0으로 나타내어지는, 즉 전기적으로 On, Off 상태 장비 :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 2계층 - 데이터 링크계층(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