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ysql
- 데이터 베이스
- GIT
- LV03
- Join
- 디자인 패턴
- JPA
- Kafka
- spring boot
- Lv.0
- 일정관리프로젝트
- 알고리즘
- CI/CD
- 코테
- Java
- Redis
- docker
- LV02
- LV.02
- 프로그래머스
- 연습문제
- S3
- 이것이 자바다
- 일정관리 프로젝트
- LV01
- SQL
- 포트폴리오
- LV1
- LV0
- CoffiesVol.02
- Today
- Total
목록ComputerScience (28)
코드 저장소.

목차1.스레드 풀?2.스레드 풀이 필요한 이유 3.스레드 풀이 작동되는 과정4.JAVA/Spring에 적용 1.스레드 풀?스레드풀은 미리 생성된 스레드 집합을 유지하고, 요청된 작업이 있을 때 이 스레드를 재사용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스레드 :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실행 단위를 말합니다.※프로세스 : 프로세스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말합니다.2.스레드 풀이 필요한 이유우선은 스레드풀이 왜 필요한지를 알기 위해서는 스레드풀이 없는 경우를 한번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스레드풀이 없는 경우 무분별한 리소스 소모: 스레드를 무분별하게 생성을 하고 작업을 수행을 하게되면 많은 리소스를 소모합니다. 또한 스레드 생성은 시간이 걸리며, 과도한 스레드 생성은 시스템 성능을 저하를 일으킵니다..
목차1.With구문2.CTE?3.문법예 1.With구문데이터 베이스에서 with절은 SQL문을 작성하다 보면 Query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한 두번의 반복은 괜찮지만, 그 수가 많아질수록 가독성이 떨어지고 재사용할 수 없어 매번 동일한 Query를 작성하거나 수정해야 합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게 WITH구문입니다. 이 WITH구문을 알기 위해서는 CTE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2.CTE?CTE는 common table expressions 의 약자로 SELECT, INSERT , UPDATE, DELETE 쿼리를 실행할 때, 해당 쿼리 내부에서 C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테이블처럼 영구적으로 저장되는게 아닌 쿼리가 실행되는 동안에만 임시로 존재하는 결과값..
목차1.퍼사드 패턴? 2.퍼사드 패턴 특징3.구현 1.퍼사드 패턴?퍼사드(Facade)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복잡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퍼사드 패턴은 하나 이상의 클래스에 대한 접근을 단순화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코드가 더 쉽게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패턴은 특히 복잡한 서브시스템이 많은 경우 유용하며, 서브시스템 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코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2.퍼사드 패턴 특징1. 단순화된 인터페이스 제공 퍼사드 패턴은 복잡한 서브시스템에 대해 단순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가 더 쉽게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여러 서브시스템 클래스를 직접 사용할 필요 없이, 퍼사드를 통..
목차?1.데코레이트 패턴?2.데코레이트 패턴 장단점3.데코레이트 구현 1.데코레이트 패턴?데코레이트 패턴은 객체의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구조적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상속 대신 객체 조합을 활용하여 기능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더 유연하고 유지보수성이 높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합니다.2.데코레이트 패턴 장단점데코레이트 패턴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유연한 기능 확장:상속 대신 객체 조합을 통해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 매우 유연하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런타임에 객체의 행동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요구사항을 쉽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단일 책임 원칙 준수:각 클래스가 하나의 책임만 가지게 되므로, 클래스의 책임이 명확해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해..
목차1.브릿지 패턴?2.브릿지 패턴의 장단점3.브릿지 패턴 구현 1.브릿지 패턴?브리지 패턴(Bridge Pattern)은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구현(Implementation)과 추상화(Abstraction)를 분리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입니다. 이 패턴의 주된 목적은 추상화와 구현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로써 코드를 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게 만들며, 변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2.브릿지 패턴의 장단점브릿지 패턴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장점독립적인 확장성: 추상화와 구현이 독립적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변경 용이성: 구현체가 변경되더라도 추상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변경이 용이합니다.유연성: 런타임 시에 구현..
목차1.어뎁터 패턴?2.어뎁터 패턴의 장단점3.어뎁터 패턴 구현 1.어뎁터 패턴?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호환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가진 클래스들을 함께 동작하게 만들어주는 구조적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기존 클래스를 수정하지 않고도 다른 인터페이스와 호환되도록 중간에 어댑터 클래스를 삽입하여 기존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2.어뎁터 패턴의 장단점장점 호환성 :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진 두 객체를 통합할 수 있다. 기존 코드나 라이브러리를 수정하지 않고도 새로운 코드를 통합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성 : 기존의 클래스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준다. 기존 코드를 재사용하면서도 새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