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QL
- Lv.0
- LV.02
- 데이터 베이스
- Java
- JPA
- 포트폴리오
- Redis
- GIT
- CoffiesVol.02
- 연습문제
- mysql
- 이것이 자바다
- 일정관리 프로젝트
- docker
- LV01
- S3
- 알고리즘
- LV02
- 코테
- spring boot
- CI/CD
- Join
- 일정관리프로젝트
- LV1
- 프로그래머스
- LV0
- 디자인 패턴
- Kafka
- LV03
- Today
- Total
목록2025/09/06 (3)
코드 저장소.

목차1.GC?2.GC의 구조 및 작동원리3.GC의 종류 1.GC? GC는 JVM에서 메모리 관리를 위해 사용이 되며 ‘더 이상 참조되지 않는 객체들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메모리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며 프로그램 실행 중에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고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개발자들은 가비지 컬렉터를 통해서 메모리 관리에 대한 직접적인 관여 없이도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작성을 할 수 있습니다.가비지 컬렉터는 메모리 영역에서 중에서 힙 영역 내에서 이를 관리를 하고 사용을 합니다. 2.GC의 구조 및 작동원리GC의 구조는 힙영역에서 Young Generation, Old Generation, Meta space로 나뉘어집니다. Young Generation 이 부분..

목차1. 객체 비교가 중요한 이유2.== 연산자의 의미3.equals() 메서드의 의미4.hashCode() 와의 관계5. ==, equals(), hashCode() 차이 정리6.적용 1. 객체 비교가 중요한 이유JPA로 엔티티를 작성하다 보면, 꼭 등장하는 메서드가 있습니다. 바로 equals()와 hashCode()입니다. 단순 CRUD 수준에서는 크게 티가 안 나지만, 엔티티를 컬렉션(Set, Map)에서 다루거나,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동등성을 판별할 때는 이 두 메서드가 핵심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의문이 생깁니다. “왜 굳이 엔티티에서 hashCode까지 구현해야 할까?” 그 이유는 객체를 비교하는 방식이 세 가지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 두 객체가 **동일한 메모리 주소(참조)**를 가리..

목차1.작성하게 된 계기2.예외(Exception)란?3. Checked Exception4. Unchecked Exception5. Checked vs Unchecked 비교6. 실무 적용 관점7. 결론 1.작성하게 된 계기일전에 일정관리 프로젝트를 하면서 OpenAI API 응답(JSON 파싱)과 DB 조회를 묶어서 처리하는 코드를 작성했다.@CircuitBreaker(name = "openAiClient", fallbackMethod = "fallbackRecommendSchedules")public List recommendSchedules(String userId, Pageable pageable) throws Exception { Long memberId = memberReposi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