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3
- docker
- 일정관리프로젝트
- Kafka
- 연습문제
- 프로그래머스
- GIT
- CI/CD
- LV0
- 코테
- 알고리즘
- 이것이 자바다
- LV1
- 일정관리 프로젝트
- mysql
- LV.02
- CoffiesVol.02
- 데이터 베이스
- Redis
- Join
- LV03
- SQL
- Lv.0
- 포트폴리오
- JPA
- spring boot
- 디자인 패턴
- Java
- LV02
- LV01
- Today
- Total
목록2025/01 (7)
코드 저장소.
목차1. 문제 상황2.해결책 1. 문제 상황일정 프로젝트를 진행을 하면서 아래와 같은 경고 문구가 나왔다.2025-01-27 18:15:42 [http-nio-8082-exec-2] [f88939bd-064c-4a9f-916c-14a228ece179] [] WARN o.s.d.w.c.SpringDataJacksonConfiguration$PageModule$WarningLoggingModifier - Serializing PageImpl instances as-is is not supported, meaning that there is no guarantee about the stability of the resulting JSON structure! For a stable JSON structure,..
목차1.TestContainer?2.테스트 컨테이너의 장단점3.작성 방법 1.TestContainer?테스트컨테이너란 코드로 도커 컨테이너를 제어하여 통합테스트를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로컬에 설치된 도커데몬과 연동되어 테스트코드가 실행되기 전 코드를 통해 해당 테스트를 위한 일회성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테스트 수행 후 컨테이너를 삭제합니다. 테스트컨테이너를 응용하면 테스트 때 뿐만 아니라 런타임 중에도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2.각 테스트 컨테이너의 장단점장점실제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환경 제공다양한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 제공테스트가 끝나면 자동으로 컨테이너 정리JUnit 4, JUnit 5 지원단점테스트 실행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단순..

목차 1. 문제 상황 2.원인 및 해결 방법 1. 문제 상황깃에 feature 브랜치를 만든 후 작성한 코드를 push를 했는데 문제는 사진과 같이 pr요청이 나오질 않는 상황입니다. 2.원인 및 해결 방법원인- 프로젝트를 생성후 코드를 작성한 다음 프로젝트의 로컬 브랜치와 깃 브랜치의 히스토리가 맞질 않아서 생겼던 문제로 당시에 main 브랜치에 최신화를 하기 위해서 pull을 사용했는데 결과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나왔습니다. 사진에 보면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라고 적혀 있는데 이것은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초기화되어 히스토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깃의 이력을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확인을 해본 결과는 다..
목차1.스택?2.스택 특징3.스택을 구현하는 방법 1.스택?스택(Stack)은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LIFO) 방식을 따르는 자료구조입니다. 말 그대로 나중에 삽입된 데이터가 먼저 꺼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2.스택 특징 후입선출(LIFO):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처리됩니다.단순성: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져 구조가 단순합니다.제한된 접근: 데이터 접근은 오직 Top에서만 가능합니다. 3.스택을 구현하는 방법스택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배열을 이용한 방법, 리스트를 이용한 방법, 링크드리스트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각 방법을 사용해서 구현하면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배열을 이용한 방법public class StackSample { private i..
목차1.브루트 포스?2.브루트 포스의 장단점3.브루트 포스의 종류 및 예제 1.브루트 포스?브루트 포스(brute Force)는 "완전 탐색" 기법으로도 불리며,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전부 탐색하여 문제의 답을 찾는 알고리즘 설계 방식입니다.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지만, 시간 복잡도가 높아 성능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2.브루트 포스의 장단점브루트포스의 장점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쉽다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기 때문에 100% 정확성을 보장한다.브루트포스의 단점메모리 효율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이 매우 오래걸린다. (시간복잡도가 높다)3.브루트 포스의 종류 및 예제브루트 포스의 종류를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선형 구조 : 순차 탐색비선형 구조 : 백트래킹, DFS..
목차1.DFS?2.DFS의 특징3.원리 및 구현 1.DFS?dfs는 트리나 그래프를 탐색하는 기법 중 하나로, 시작 노드에서 자식의 노드들을 순서대로 탐색하면서 깊이를 우선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깊이를 우선시하여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기 때문에, 완전탐색 알고리즘에 속하기는 하지만, 항상 완전탐색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DFS는 주로 반복문을 활용하거나, 재귀문을 통하여 구현된다.2.DFS의 특징깊이 우선 탐색DFS는 가능한 한 깊이로 먼저 탐색을 진행하며, 더 이상 갈 수 없을 때 이전 단계로 돌아와 다른 경로를 탐색합니다.특정 노드에서 모든 경로를 끝까지 탐색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경로 탐색DFS는 시작 노드에서 특정 목표 노드까지의 모든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거나, 특정 조건에 맞는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