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네트워크
- Java
- GIT
- JPA
- 코테
- LV1
- LV02
- LV.02
- 프로그래머스
- Til
- 데이터 베이스
- Join
- 연습문제
- Lv.0
- 디자인 패턴
- 일정관리프로젝트
- SQL
- LV03
- spring boot
- mysql
- LV01
- 포트폴리오
- LV0
- CoffiesVol.02
- Redis
- 배열
- docker
- 이것이 자바다
- 알고리즘
- S3
Archives
- Today
- Total
코드 저장소.
TCP 네트워크 계층 본문
목차
1.IP ?
2.TCP ?
3.TCP/IP 4계층
1.IP ?
- IP는 컴퓨터나 기타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는 주소 체계를 정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각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이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내고 받습니다.
- IP는 데이터의 패킷화, 라우팅, 전송 등을 관리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 조각들의 순서가 뒤바뀌거나 일부가 누락되더라도 크게 상관하지 않고 보내는 데 집중한다.
- 현재 주로 사용되는 IP 버전은 IPv4와 IPv6가 있습니다.
2.TCP ?
-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송과정을 관리합니다.
-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이를 받는 측에서는 이 패킷들을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재조립합니다.
- 데이터의 전송 중 손실이나 오류가 발생하면, TCP는 재전송을 요청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합니다.
- TCP는 연결 지향적이며,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하므로 전송된 데이터가 순서대로 도착하고 모두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음을 보장합니다.
- 주로 웹 브라우징, 이메일 전송, 파일 전송 등 신뢰성이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됩니다.
3. TCP/IP 4계층
TCP/IP 4계층은, TCP/IP 프로토콜 통신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OSI 7계층을 좀 더 단순화 시킨 계층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계층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각 계층별 처리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계층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특정 계층에서 문제가 생기면, 해당 계층을 살펴보면 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편리합니다.
- 다른 계층끼리는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캡슐화와 은닉이 가능합니다.
위의 사진에 있는 4계층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4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소프트웨어 간 소통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이 작성됩니다.
- 프로토콜로는 HTTP, HTTPS, FTP, SSH, Telnet, DNS, SMTP 가 있습니다.
3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통신 노드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계층입니다.
- 역캡슐화 과정에서, 포트 번호를 사용해 데이터를 정확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역할도 합니다.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과 인터넷 계층을 통해, 데이터가 목적지 기기까지 정상적으로 도착했다면,
- 전송 계층은 포트 번호를 사용해, 데이터를 목적지 기기 내 적절한 에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합니다.
- 프로토콜로는 TCP, UDP, RTP, RTCP 가 있습니다.
2계층 :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 패킷을 최종 목적지까지 라우팅하는 계층입니다.
- 프로토콜로는 IP, ARP, ICMP, RARP, OSPF 가 사용됩니다.
1계층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or Network Interface Layer)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뒤,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사용해, 알맞은 기기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입니다.
- 프로토콜로는 Ethernet, Wi-Fi, PPP, Token Ring 과 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
'Computer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 (0) | 2023.12.31 |
---|---|
http의 특징 및 구조 (0) | 202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