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 boot
- Join
- LV02
- 연습문제
- 일정관리프로젝트
- docker
- Lv.0
- 알고리즘
- CoffiesVol.02
- GIT
- JPA
- S3
- 코테
- LV01
- mysql
- 디자인 패턴
- Java
- 데이터 베이스
- LV1
- 포트폴리오
- 배열
- LV0
- 일정관리 프로젝트
- LV03
- LV.02
- 프로그래머스
- SQL
- 이것이 자바다
- Redis
- Til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3)
코드 저장소.

목차 1.IP ? 2.TCP ? 3.TCP/IP 4계층 1.IP ? IP는 컴퓨터나 기타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는 주소 체계를 정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각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이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내고 받습니다. IP는 데이터의 패킷화, 라우팅, 전송 등을 관리하며,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조각들의 순서가 뒤바뀌거나 일부가 누락되더라도 크게 상관하지 않고 보내는 데 집중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IP 버전은 IPv4와 IPv6가 있습니다. 2.TCP ?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송과정을 관리합니다.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이를 받는 측에서..

목차 1.OSI는 무엇인가? 2.각 계층의 설명 1.OSI는 무엇인가?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을 말합니다. 2.각 계층의 설명 각 계층에서 Header가 붙게 되고 수신측은 역순으로 헤더로 분석하게 된다. 1계층 - 물리계층(Physical Layer)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 단지 데이터 전기적인 신호(0,1)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만 할 뿐 이 계층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위 : 비트(Bit)이며 이것은 1과 0으로 나타내어지는, 즉 전기적으로 On, Off 상태 장비 :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 2계층 - 데이터 링크계층(Data..
목차 1.http? 2.http의 특징 3.http의 구조 4.http의 응답상태 1.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규약을 정해두었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약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2.http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입니다.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으므로 응답과 요청이 독립적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서 응답 서버를 쉽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무한한 서버 증설이 가능하다.(Scale-Out) 상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