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pring Frame Work
- LV03
- SQL
- Join
- 일정관리프로젝트
- 데이터 베이스
- LV.02
- Java
- LV02
- 프로그래머스
- 배열
- 연습문제
- LV0
- LV1
- Til
- CoffiesVol.02
- 알고리즘
- Redis
- 이것이 자바다
- Lv.0
- 네트워크
- 코테
- 디자인 패턴
- docker
- mysql
- JPA
- jpa blog
- 포트폴리오
- 포트 폴리오
- LV01
Archives
- Today
- Total
코드 저장소.
[알고리즘] 선택 정렬 본문
목차
- 선택정렬의 방식
- 선택정렬의 장단점
- 선택정렬의 코드구현(JAVA)
선택정렬의 개념
-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을 말한다.
선택정렬의 방식
- 1회전
- 첫 번째 자료 9를 두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첫 번째 위치에 옮겨 놓는다. 이 과정에서 자료를 4번 비교한다.
- 2회전
- 두 번째 자료 6을 세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두 번째 위치에 옮겨 놓는다. 이 과정에서 자료를 3번 비교한다.
- 3회전
- 세 번째 자료 7을 네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와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세 번째 위치에 옮겨 놓는다. 이 과정에서 자료를 2번 비교한다.
- 4회전
- 네 번째 자료 9와 마지막에 있는 7을 비교하여 서로 교환한다.
선택정렬의 장단점
장점
- 구현이 쉽다.
-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있는 요소를 오름차순으로 재정렬할 때 효율이 좋다.
- 비교 횟수는 많지만, 실제로 교환하는 횟수는 적다. 교환이 많이 일어나는 자료상태라면 효율적이다.
단점
- 서로 떨어져 있는 요소를 교환하기 때문에 안정적이지 않다
- 이미 정렬된 상태에서 소수의 자료가 추가된 후 재정렬 하면 비효율적이다.
- 시간복잡도 O(n2) 로 인하여 정렬 시간이 오래 걸림.
버블정렬의 구현(JAVA)
public class SelectSort {
static void swap(int[]arr,int num1,int num2) {
int tmp = arr[num1];
arr[num1] = arr[num2];
arr[num2] = tmp;
}
static void selectSort(int[]arr,int size) {
for(int i=0;i<size-1;i++) {
int min = i;
for(int j=i+1; j<size; j++) {
if(arr[j]<arr[min]) {
min =j;
}
}
swap(arr,min,i);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 = {5,2,1,3,4,5};
selectSort(number, number.length);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number));
}
}
'ComputerScience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FS ? (0) | 2025.01.01 |
---|---|
[알고리즘] 퀵 정렬 (0) | 2023.01.30 |
[알고리즘] 병합정렬 (0) | 2023.01.30 |
[알고리즘] 삽입정렬 (0) | 2023.01.06 |
[알고리즘] 버블 정렬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