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Java
- LV01
- Til
- LV.02
- 코테
- jpa blog
- LV0
- Join
- 데이터 베이스
- mysql
- 프로그래머스
- GIT
- 일정관리프로젝트
- Redis
- 디자인 패턴
- 네트워크
- LV02
- 포트폴리오
- 이것이 자바다
- 포트 폴리오
- LV1
- CoffiesVol.02
- docker
- LV03
- JPA
- 알고리즘
- Lv.0
- 배열
- 연습문제
- SQL
Archives
- Today
- Total
코드 저장소.
Git ? 본문
목차
1.Git?
2.Git의 특징
3.Git의 주요 명령어
1.Git?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 파일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팀원 간의 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특히, 로컬 컴퓨터와 중앙 저장소에 모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Git이 대표적인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2.Git의 특징
- 로컬에서 작업 가능
- 모든 파일의 변경 이력과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변경 작업이 가능합니다.
- 협업의 유연성
- 여러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작업한 뒤, 중앙 저장소에 병합(Merge)할 수 있습니다.
- 브랜치를 생성하여 독립적인 작업 환경을 만들고, 이후 다른 작업물과 병합할 수 있습니다.
- 백업 안정성
- 프로젝트 히스토리가 사용자들의 로컬 저장소에 분산 저장되므로, 중앙 서버가 손상되거나 삭제되더라도 복구가 가능합니다.
- 버전 관리의 투명성
- 모든 변경 사항이 이력으로 기록되며, 누가 어떤 작업을 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3.Git의 주요 명령어
- git init : 깃 초기화. 이 명령어를 실행해야만 깃이 실행된다. 이 명령어 실행 전까지는 그냥 일반 폴더일 뿐이나, 이후엔 추가적인 명령어들을 통해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 git status : 깃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 명령어를 통해 현재 상태가 어떤 지 수시로 확인 가능하다.
- git add : 커밋에 파일의 변경 사항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 명령이 저장소에 새 파일들을 직접적으로 추가하진 않는다.
- git commit : "git commit -m '저장명'" 등과 같은 명령어로 주로 사용한다. 이 명령어를 통해 커밋을 생성하고, 변경 사항을 확정하여 반영한다.
- git clone : 기존 소스 코드 다운로드 및 복제한다. 즉, 원격 저장소의 저장소를 로컬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복사해 가져온다.
- git log : 나의 커밋 내역에 대해 알고 싶을 때 사용하면 현재 커밋 목록들을 확인 가능하다.
- git checkout : 브랜치에서 브랜치로 이동 가능하다. 현재 버전에서 이전 버전의 커밋으로 이동하거나 변경 전의 브랜치로 접근 가능하다.
- git checkout master : 이전 버전, 변경 전 브랜치에서 다시 현재의 (master) 브랜치로 되돌아 올 수 있다.
- git push :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한다.
- git pull : 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용이 현재 디렉토리로 가져와진 뒤, (fetch) 병합된다.
- git merge : 변경 사항 등이 모두 확정되고 난 후, 브랜치들을 병합한다. 작업 마무리 단계에서 시행한다.
참고 사이트
'웹개발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rebase (0) | 2025.04.25 |
---|---|
git pull request가 나오지 않는 경우 (0) | 2025.01.10 |